카테고리 없음

7급한국사 출제경향 해결방법 제대로 확인

미디어록 2018. 7. 31. 17:57



사실 높기로 유명한 

국가직7급 한국사와는 다르게

지방직 7급 한국사의 경우는

풀이해보면 아시겠지만  

그 수준이 평이 그 자체라는 것을 

느끼실수가 있으실거예요.


이는 지난 2017년 시험에도 

계속해서 유지가 되고 있는데요.

아마 국가직 시험문제를

먼저 접하신 분들이라면

조금 숨통이 트이시는 기분이실거예요.






다만 그렇기에 합격을 위해서는

고득점을 하지않으면 

안될정도라고 할수있는데

일행직 기준으로는 90점정도는

되어야만 안정권이라고 할수있을

정도의 수준이예요.


일단 전체 7급한국사 

시대별 출제문항수를

살펴보게 되면

선사시대 1문제 고대 4문제, 중세 3문제,

근세 근대 5문제, 한말 2문제,

일제시대 2문제, 현대사 2문제,

통합문제가 1문제가 출제되었고

분류사별로 나눠보면

정치사가 11문제고,

경제가 3문제, 사회4문제, 문화 2문제가

출제가 되었답니다.





시대사로 봤을때는 

대체로 고르게 출제가 되는 가운데

근세 근대 태동기 파트가

가장 높은 출제율을 보이고 있고.

분류사적으로 봤을때는 

9급과 마찬가지로 정치사가 

전체문제의 절반이 넘게

출제가 되고 있어요.


이게 7급한국사 문제들을

풀어보시면 느끼시겠지만

문제가 대체로 수월하기는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높은 점수를

쉽게 득점하기는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는것을 알수가 있어요.





100점만점 기준이라면

대체로 60~70점정도까지 맞출수 있는

문제는 사실 기존의 기출에 

기반한 출제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분석에 충실하면 어쨌든 정답을 맞추기가

수월한 문제들이긴 해요.


하지만 나머지 30~40점가량은

어쨌든간의 자신의 역량으로

해결해나가야 할 부분인데요.

아무래도 분량때문에 

요약집 중심으로 

공부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그렇게 해서는 한계가 드러나게 됩니다.





분량을 감안해서 7급한국사 공부를

하실때는 시간투자를 충분히

해주셔야 해요.

성급하게 빠르게 하려나가

요약중심으로 공략하게 되면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기게 되요.


기본서로 차근차근 선사시대부터

고대 중세를 지나 현대사까지

쭉 이어가면서 순차적으로

학습을 해주시고 

함께 기출문제도 풀이하시면 

시험 유형에대한 부분도 

확실하게 익숙해지실수 있으실거예요.





또 7급한국사 문제풀이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중 하나가

시간관리라고 할수있는데요.

최근 국가직7급의 경우

영어가 빠지면서 전보다는

조금 여유가 생긴것도 사실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시간의 압박은 존재해요.


그렇기에 항상 시간내에 

문제를 풀어나가는 연습을

꾸준한 문제풀이로 해두셨으면 하네요.





7급한국사 최근 기출문제 받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