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직은 아무래도 합격선을

보면 대체로 수월한 수준이다보니

좀더 쉽게 생각하기 쉽지만

졸업을 앞두고 있는분

졸업하지 얼마되지 않는 분들 뿐 아니라

실제 업무를 하시는 분들까지도

최근에 많이 도전하시다보니

결코 경쟁시험 입장에서는

만만하지 않은데요.


일단 전기직공무원 커트라인도

최근 점수대를 보면

70점에서 80점 사이에서

대체로 합격이 많이 결정되더라구요.





일단 치열한 시험일수록 

갖출것들은 갖춰놓지 않고는

합격을 만들어낼수가 없어요.

그런의미에서 전기직공무원 가산점

자격증을 사전에 반드시

준비해두셔야 하는데요.


전기기사 최고 전기산업기사는

필수는 아니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합격을 위해서는 

필수로 갖춰두셔야 해요.






있고 없고 차이가 최대 5%,

점수로 따지면 25점까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자격증이 없이 응시할경우

합격이 거의 힘든 실정이예요.

그렇기에 꼭 하나의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하시고 

사전에 꼭 가산점 마련해두세요.


물론 어차피 전기직공무원 시험과목들중

전기과목들과도 연결되기 때문에

열심히 자격증을 위해서 공부하게되면

실제 시험준비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도움을 받을수가 있어요,.






보통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이

최소 1년정도는 생각하고 계획을

세우시고 있다고 한다면

전기직공무원 수험생들은 

전기이론과 전기기기는 그래도 

계속해서 준비했고 기사시험을 준비하면서

줄곳 봐왔기 때문에 

조금 여유롭게 생각하고

너무 단기간에 타이트하게 

준비 계획을 세우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실제로 착실하게 학교생활을 하셔서

어느정도 학점을 유지할정도의

이해도를 가질정도의 분이거나

기사시험이나 산업기사를 

취득하신 분이라고 한다면

이론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커버가 되시긴 하는것도 사실이예요.







오히려 이론적으로만 보게되면

전기기사보다 좀더 낮게

평가가 되고 있으니 말이죠.

하지만 문제풀이 방향으로

더 나아가게 되면 조금 상황이 달라지는데요.


아무래도 기사시험과는 문제출제

형태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예요.

뭔가 공부는 술술 되는거 같은데

문제풀이를 했을때는 생각만큼

좋은 점수가 나오지 않는건데요.

그렇기에 기출풀이를 이어가면서

문제에 대한 적응력을 기르셔야해요.







또한 생각보다 쉽게 공부가 잘된다고

너무 자만하셔서는 안되는게

기사 시험과는 다르게 

전기직공무원 시험은 

경쟁시험이라는 점이예요.


내가 쉽게 느끼면 다른 수험생들도

다 쉽게 느낀다는 거죠.

그렇기에 "잘되네?"에서 끝이나면안되고

모두다 맞출각오로 공부하셔해요.

실제로 그렇게 되어야만

합격가능성이 높구요.






또 실제 시험장에서는 많은 분들이

시간에 쫒기는 경우가 많다고 하세요.

아무래도 전기관련한 문제들은

언제나 공식을 활용한 계산문제가

다수출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적잖은 시간소비가 되고 있어요.


그러다보니 공부가 쉽게 되더라도

실제 시험장에서는 체감되는

문제수준이 더 높게 느껴지기도 하죠.

이게 컨트롤이 되지 않으면 

시험은 보나마나기 때문에 

시간관리에 대한 많은 훈련이 필요해요.







아무래도 전기직공무원을 준비하는

이과출신 분들의

기본 성향이 모두 그렇듯

나머지 과목들인 한국사, 영어, 국어등은

공부도 쉽지않고 높은점수를 만들어낸다는게

정말 힘든일이예요.

일단 기본난이도도 만만치 않기도하구요.


특히 영어실력이 좋지않은분은

기초부터 해나가시려면

정말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부를 하실때도 다른과목보다

시작자체가 빠르셔야 해요.


다른과목과 맞춘다고 똑같이 시간을

나눠서 함께 진행하게 되면

이도저도 되지않을 가능성이 높으니

최대한 영어에 비중을 더 두고

공부를 진행하셔야 함을 잊지마세요.





전기직공무원 지방 국가직 시험문제지 바로받아보세요(클릭) 






WRITTEN BY
미디어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