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취득을 하려는 분들에게는

 취득하려고 하는 여러가지

 이유가있어요.

단순히 공부가 재미있어서 

하는 분들도 있고 

이력서에 한줄 더 첨가하기위한

취득도 있고 가산점을 위한 경우도 있죠.


하지만 주택관리자 자격증의 경우는

대부분 취득의 이유를 

당장 혹은 나중에 

자격증을 통해 취업을하고

돈을 벌기위해서라고들 얘기하시죠.






그 중에서도 대부분은

아파트관리소장을 생각하시는데요.

자격증 활용도가 거의 

관리소장에 집중되어 있기도하고

실제로 그 목적을 위해서

취득하시는게 대부분이기도 하죠.


사전에 듣기로도 주택관리사 전망이

나쁘지 않다고도 하고

일단 다들 나름의 힘겨운 과정을 통해서

주택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기때문에

대부분 그 보상심리로 인해서

일단 취득하기만 하면

당장 취업도 쉽고,

취업하게되면 수입도 괜찮을것

같다는 생각을 하는게 

보통의 분들이 하시는 생각이신데요.







그러나 모든지 그렇더라구요.

너무 과한 기대와 희망을 갖게되면

생각대로 되지않았을때

실망역시도 그에 비례해서 커져요.

그렇기에 너무 과한 기대보다는

다시 아래서부터 시작하는 기분으로

조금 기대치를 낮춰서

시작하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일단 주택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게되면

주택관리사가 아닌

주택관리사보가 되는데요.

물론 아파트관리소장으로 활동을

못하는건 아니지만

근무영역은 조금 한계가 있어요.





 주택관리사보는 500세대 미만의

아파트단지에서만 근무가 가능하고

3년이상의 경력이 되었을때만

500세대 이상의 단지에서도

근무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아파트 세대에 따라서 관리되는

직원수도 틀리고 그에 따라 책임도

더 커지기 때문에 

당연한 얘기지만 급여가 더 많답니다.

당연히 세대가 적은경우는

급여는 좀더 적죠.






물론 이것도 경력에 따라서 

좀더 차이가 있을수밖에 없구요.

사실상 주택관리사 자격증

취득하고 나면 초보나 다름없기에

고액연봉은 당연히 어려워요.


그렇기에 처음에는 조금 눈을 

낮추고 시작하시는 수밖에 없어요.

대략 처음 근무하신다면

3천만 ~ 4천만 사이에서 

주택관리사 연봉이 결정된다고

보시면 될듯 하네요.






하지만 경력을 쌓으시고나서

주택관리사 되어 좀더 큰 단지에서

관리소장을 맡게 된다면

확실하게 대우나 급여는

틀려질수밖에 없기에

우선은 노하우를 기른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물론 자기개발도 무척 중요한게

여러가지 아파트 관리와 연관된

다양한 자격증들도 취득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거예요.





실제로 회계능력까지 갖춘경우

관리와 회계업무까지 함께 담당하면서

많은 급여를 받는 분들도

꽤 있더라구요.


그렇기에 주택관리사 자격증 취득

그리고 취업자체로 모든게

끝이라는 생각을 갖기보다는

몇년후를 내다보면서 길게 준비하다보면

주택관리사 전망이 어떻든

흔들리지 않고 좋은 여건과 환경에서

근무하실수 있으실거예요.






일단 이런 부분들도 먼저 

열심히 공부해서 자격증을 

취득한 다음에나 고민할수있는 문제긴 해요.

일단 당장 합격이

상당히 쉽지 않으니 말이죠.

더구나 2020년부터는 시험제도가

합격이 더힘들어지는 상대평가로 바뀌면서 

더욱 준비가 급하게 되었는데요.


현재 공부를 시작하지 않으신 분들이나

공부를 시작하셨지만 

도무지 원활한 학습진행이 

되지않는 분들이라면

방식을 달리하시면 좋을것 같아요.





이때는 많은 조언이 필요한데

꽤 오랜시간동안 주택관리사 자격시험이

지나온 과정들을 지켜봐오고

그에 따른 대비방법과 

학습노하우를 연구해온 

멘토분들에게 조언을 받아보시는것도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이것저것 검색해보시긴하지만

정확한 정보인지 아닌지도 모를

내용들만 나오고 명확하지가 않으시잖아요.

그렇기에 확실하게 계획은

어떻게 세워야하고 과목별 학습방향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물어보시고 정확하게 안내 받아보신다면

좀더 명확한 학습 진행해나가실수

있으실거예요.





주택관리사 학습방향 상담받고 학습자료도 무료로 받자(클릭)





WRITTEN BY
미디어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