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소방관련자격증은
소방설비기사에서 시작하고
소방설비기사에서 끝난다고 할정도로
가장 활용도가 높고 선호하는 자격증인데요.
그러다보니 많은 분들이
준비하시는 것에 비해서는
최종합격자가 그리 많은 편이아니예요.
보통 전기분야 응시자가
1만 5천여명 수준인데
최종합격자는 2~3천명정도
기계분야 응시자는
1만여명 안팎이고 합격자는
보통 2천명 이하 정도예요.
필기에서 실기까지 거쳐나가기가
상당히 쉽지않음을 알수가 있는데요.
예전에는 독학으로 많이 공부하시다보니
좀더 합격률이 낮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온라인강으로
많이 공부를 진행하시는듯 하더라구요.
그러다보니 좀더 공부가
편해지기는 했지만 워낙 과목들이
만만찮은 과목들로 되어있어요.
소방설비기사 기출문제를
풀어보시면 아시겠지만
과목들과 그에 따른 문제들을 보더라도
대부분 소방에 대해서 잘알더라도
전기와 기계에 대해서
같이 잘아는 경우가 드물고
전기와 기계에 대해 잘알더라도
소방법이나 소방관련된 지식들까지도
잘아는 경우는 드물다보니
몇과목이 잘풀려나가더라도
특정 과목들에서 발목이 잡히는 결과가
나오곤 하더라구요.
그러다보니 특정과목에 대한
과락으로 인해
불합격이 발생되는 경우가
무척 많은 편이기도 해요.
다 잘해놓고 한과목에서
40점이 안되서 시험자체가 무효화
되어버린다면 그만큼 안타까운일은
또 없을테니 말이죠.
그러기위해서는 제일먼저
소방설비기사 기출문제를 풀이하면서
스스로의 능력치를 검토해보는
과정을 거칠수밖에 없을듯 한데요.
풀어보면 자신이 어떤과목을
좀더 자신있게 해나갈수 있을지를
알수가 있고,
어떤 소방설비기사 과목이
과락의 위험이 높은 과목인지를
어느정도는 가늠할수가 있으실거예요.
그런다음 어느정도 균형을 맞춘
학습이 진행이 되어야 해요.
계획도 그에 맞춰서
과목별 투자 시간도 차등을 줘서
세워야 하구요.
어차피 소방설비기사 시험은
상대평가가 아니라 절대평가이기 때문에
고득점을 만들필요는 없어요.
과목 과락만 피하고
전체 평균 60점만 되면 되죠.
그렇기에 굳이 특정과목을
과락의 위험에 두면서
잘하는 안정권과목에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죠.
조금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어요.
그렇기에 꼭 본격적 계획수립전
소방설비기사 기출문제는
꼭 풀어보시기 바랍니다.
전기 기계 모두 마찬가지니까요.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