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같으면 사회조사분석사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통계학 전공자 분들로 한정되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취업등에 도움이 되거나
가산점 적용이 되기에 준비하거나
여러 자격증 취득을 거쳐서
새로운 도전을 하기위해 시작하시는
분들까지 정말 다양한 분들이
시험준비를 하시는듯 하다.
일단 사회조사분석사2급은 필기와
실기로 나뉘어져 있지만,
실기의 필답형 시험까지는 사실
필기시험의 연장이라고 볼수가 있다.
그런 이유가 되는게
필답형은 실기시험이긴 하지만
단답형과 서술형태가 합쳐진
사실살 필기시험이기 때문이다.
또한 과목내용도 필기과목들에서
연결되어 출제가 되는 상황이다.
현재 사회조사분석사2급 필기 과목은
조사방법론 I ,II와 사회통계로
과목자체는 세과목으로
부담되는 분량은 아니다.
난이도도 완전 쉽다고 할수없지만
어렵다고는 볼수없을 정도의 수준으로
출제가 되고는 있다.
실제로 합격률이 50~60% 정도
나올정도로 상당히 높은편인데
물론 이는 전공자들이 많이 응시하기때문에
그런 이유도 분명히 있는게 사실이다.
사실 통계학 전공자들은
사회조사분석사2급 필기를 독학으로
몇개월 바짝 공부할경우
합격이 크게 어렵지는 않은편이다.
문제는 비전공자들인데
단순히 남들(통계학전공자)들이
사회조사분석사2급 독학으로 쉽게 합격한다는
얘기만 듣고 같은 방식으로
준비를 해나가서는 어려워지게 된다.
아무래도 통계학에 대한 기초개념을
갖고있느냐 아느냐에 따라서
하늘과 땅차이기 때문이다.
사실 사회조사분석사2급 필기 과목중
조사방법론은 어찌보면 암기가
중요한 과목이라 단순하게
접근해나가더라도 합격이 가능하다.
하지만 조사방법론 I,II 내용이
실기필답형에 주관식 더구나 서술형태의
문제로 출제가 되고 있다보니
대충 외우거나 기출위주의 학습만으로는
최종합격까지 이어나가기가 어렵다.
그렇기에 필답형을 생각해두고
조사방법론을 개념이해 위주의 학습으로
이어나가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최종합격은 어렵다.
사회조사분석사2급 필기 사회통계 과목은
통계학의 진수라고 할만큼
통계에서 가장 중요한 숫자(?) 계산이
많은 과목이다.
그러다보니 전공자가 아니고서는
개념이해나 공식에 대한 이해도
쉽지않은편이고 문제풀이도 녹록치 않다.
일단 초보자분들의 경우에는
기본개념이 전혀 안잡힐시에 강의를 보며
해결해나가는게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이라고 할수가 있다.
그 이후 과년도 시험문제들이나
모의고사 문제들로
주 출제문제들에 대한 해결능력을
키울수만 있다면 큰 어려움없이
완벽준비가 가능할것이다.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