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여름방학을 기점으로
간호사국가고시 시험을 본격적으로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이 많다보니
간호사국가고시 합격률은 어떤지
재차 확인해보고
최근 문제유형은 어떤지 알아보는
수험생 분들이 무척 많으신듯 한데요.
아시겠지만 56회 간호사국시를 기점으로
시험이 많은 변화를 겪었습니다.
일단 시험문제는
전체 330문제에서
295문제로 줄어들었고,
시험시간이 20분늘어난
270분이 되었는데요.
문제가 줄어들고 시간이 늘린다는건
문제 난이도를 올린다는 얘기였고
실제로 지문의 길이가
이전보다 늘어난것을
알수가 있었습니다.
특히 간호사국가고시 문제 출제유형에
있어서도 확실한 변화를
느끼기에 충분했죠.
출제유형자체가
가장 적합한 답을 선택하는
문제방향으로 바뀌면서
개념을 확실하게 알지못하면
풀지못하는 문제들이 다수 출제되었고,
사례형 문제들 역시 다수출제되어
이론 뿐 아니라 실무적인
이해가 없다고 하면 풀기어려운
문제들도 많은 편이였답니다.
그래서 그런지 처음 유형이 변경되었던
2016년 56회 시험에서는
간호사국가고시 합격률이 3%가량
크게 떨어진 93.8%를 기록했습니다.
아무래도 변경후 첫 시험이었고,
그에 대한 대비가 미처되지못한
수험생들이 있었기 때문인듯한데요.
다행인것은 올해인
2017년 57회 간호사국가고시 합격률은
다시 예년 수준을 회복한
96.4%였다는 점입니다.
어느정도 시험유형과 난이도에
수험생들이 적응했다는 증거이기도 하죠.
모르시는 분들이 보기엔
이렇게 합격률이 높으니 쉽나보다라고
생각하시기도 하시지만
결코 문제가 쉬워서가 아니라
전국의 간호학과 재학생분들이
정말 피땀흘려서 이뤄낸 결과라는걸
내부적으로는 다 알고 있는 사실이고
자부심을 느끼기에 충분한데요.
사실 학업과 동시에 준비해야하는
시험이다 보니
다른 어떤 시험보다
많지않은 시간이라도 꾸준하게
집중하는것이 가장 좋은
학습방법이라고 할수가 있답니다.
물론 다시금 간호사국고시 합격률이
예전 수준으로 회복되긴 했지만,
여전히 변화된 부분들과
유형에 대해서 감을 잡지 못하시는
분들도 있으실것 같은데요.
어떤 부분이 변경되었고,
각 유형은 어떤 식으로 출제되고 있는지
간호사 국가고시 합격전략서를
한번 받아보시고
내용 확인해보시면 좋을것 같아요.
변경 내용은 물론 최근 유형까지도
확인하실수 있으니 말이죠.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