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2018년이면 한국사까지도

영어와 마찬가지로 대체되면서

이제 직무과목이 아닌

기본과목으로는 군무원 국어밖에

남지 않게 되었는데요.


사실 국어가 뭔가 계속해서

접해온 과목이다보니 

생각하기에는 쉽다고 

생각될지도 모르겠지만,

난이도가 꽤 높은편으로 

평가되고 있어요.







실제로 시험을 보고난후 

제일 어려웠던 과목으로

군무원 국어를 꼽는 수험생들도 

무척 많은 편이구요.


이는 기본 난이도도 있긴하지만 

차근차근 문제를 보다보면

뭔가 다른 시험과는 다른점이

느껴지기 때문이예요.

단순히 다른 공무원 시험을

생각하고 접근하면 안된다는 거죠.







아무래도 다른 일반9급시험과

함께 준비하시는 분들이 많다보니

일단은 지방직이나 국가직 시험의

출제유형에 맞춰서 준비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보통 그런 시험들의 경우에는

수능과 유사하게 사고력 위주의

문제 출제가 되는게 보통이예요.

단순 암기보다는 사고력 평가를

우선시하는 출제 문제인것이죠.






그러다보니 때로는 문제에 따라서

전혀 지식이 없는 상황에서도

지문들을 보고 논리적으로 추론하여 

정답을 맞추는것도 가능한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하지만 군무원 국어의 경우는

출제지문자체는 길지않아

압박감은 덜한 반면에

확실하게 개념을 외워두지 않거나

작품관련한 세부지식을 

확실하게 알지못하면 

답을 찾을수 없는 문제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작품년도나

 작가이름 맞추기 등과 같은 

문제들 말이죠.








그러다보니 시험유형에 대한

대비를 조금 달리 할필요가 있어요.

물론 출제되는 범위나 작품 자체는

같기 때문에 다른 시험과 함께 준비할시

별도로 준비할 필요는 없지만,

좀더 세세한 내용과 배경지식까지도

함께 키워야만 대비가 가능합니다. 


난이도가 높다기보다는 

유형에 대한 적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수가 있겠죠.

물론 이런 부분들은 

지난 출제되었던 문제들을 살펴보고

직접 체감하면서 대비책을

마련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WRITTEN BY
미디어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