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4일 시험을 마지막으로
2019년 사회조사분석사2급 필기시험은
모두 끝이나게 되고 남은 시험은
마지막 3회 실기시험밖에 남지 않았는데요.
이제 다음 시험은 2020년 3월 시험이기에
아직 시일이 조금 남은편이긴 하지만
합격을 목표로하는 수험생에게는
언제나 시간이 부족하다고
생각이 들수밖에 없을듯 해요.
어쨌든 필기시험은 물론 실기 필답형과
통계프로그램을 운용해야하는
실습형 시험도 존재하니까요.
일단 사회조사분석사2급의 첫걸음은
역시 사회통계와 조사방법론 1,2와 같은
필기시험부터 시작이 되는데요.
일단 생각보다 조사방법론 1, 2는
크게 어려운 편은 아니라고 느끼실거예요.
각 문제는 30문제씩 출제가 되고 있구요.
전체적으로 조사에 대한 기본개념과
여러가지 설계방법, 자료수집
타당도와 신뢰도 표본추출 사례분석등과같은
여러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일단 조사방법론1과 같은경우는
거의 사회적 개념에 가까운 문제가 출제되어
비전공자들도 수월하게 준비할수가 있어요.
다만 사회조사분석사2급 조사방법론2의 경우는
좀더 통계적인 전문영역이 많이
출제되고는 있지만 역시나
깊이있는 전문영역은 아니기에
합격점수를 만드는것은 그리 큰 어려움은
아니리라 생각이 됩니다.
다만 그래도 단순히 필기합격만을
위한 공부를 하면안되는것이
조사방법론의 개론적인 내용들이
실기 필답형 시험에 출제가 되기 때문인데요.
그냥 객관식에 최적화된 방식으로만
공부하고 끝내게 되면
결국 실기준비때 또 다시 공부를 해야하므로
애초에 필답형 시험과 겸해서
깊이있게 공부하게 되면 좋답니다.
아마도 가장 많은 분들이
쉽지않아 하는 부분이
사회조사분석사2급 사회통계 과목일거예요.
정통 통계과목이기 때문에
통계를 전공하지 않은 분들에게는
많은 어려움을 줄수밖에 없거든요.
일단 통계용어부터 낯설고
그나마 수학을 좀 하셨던 분들은
확률과 통계에 대한 것도 이해가 있으실테니
그나마 낫긴하지만
그렇지 못한 분들은 기초통계학은 물론
기초수학도 미리 공부하시고
시작하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물론 수험생에 따라서는
아무래도 해결이 어려운
사회조사분석사2급 사회통계는
과락만 피할수있을 정도만 해놓고
조사방법론에 올인하여 고득점으로
평균 60점을 목표로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이게 조금 위험한게 그런경우
조사방법론에서 고득점을 못낼경우도 많고
고득점을 내놓고도 사회통계 과락이 되어버려
실패의 쓴잔을 마시게 되는경우도
비일비재하기 때문이예요.
그렇기에 노력하시고 정안되면 강의를
동원해서라도 어느정도
만족할정도까지는 점수를 만드셔야 합니다.
사회조사분석사2급 시험은
그래도 시험기회가 많은 시험이기에
많은 분들이 느긋하게 생각하시다
시작시기를 놓치는것을 자주보게 되는데요.
모든 시험이 그렇듯이
정해져있는 준비시작시기는 없어요.
그렇기에 시간이 많이 남았더라도
조금씩조금씩 실력을 쌓아가면서
준비해두시면 안정적으로 합격을
마련할수 있으실겁니다.
아직 좀 막연하시다면 기존 출제됐던
시험문제 꼭 풀어보시면서 흐름도 파악해보시구요.
사회조사분석사2급 사회통계 조사방법론 시험문제 받기(클릭)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