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이지 전기분야에 발을 들이지
말았어야 했는데 하는 후회도 들지만
또 밥벌어먹기에는 이만한 분야가 없는것도 사실이죠.
다만 이 쪽일을 쭉 해나가기 위해서는
쉽지않은 준비 과정이 기다리고 있지만
전기기사 자격증을 필히 취득할수밖에 없어요.
실제로 실용성이 가장 높은 자격증이기에
다이렉트 전기전공이 아니더라도
전자 쪽이나 기타 응시가 가능한
여러 직렬분들도 꽤 많이 준비하는것 같아요.
다만 처음 준비시작단계에서
전기기사 기출문제를 풀어보면 알겠지만
정말이지 어렵다는 점이예요.
항시 기사 시험중에 가장 어려운
다섯손가락에 들어가는 시험이다보니
준비과정도 난관이 많고
합격률도 그리 높지않은 편이예요.
하지만 일단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게되면
전기공사기사는 물론 소방설비기사나 산업안전기사
까지 나아갈수있는 교두보를
마련하게 된답니다.
결국 내용들은 이어지기 때문에
일단 자격증 취득후엔 다소 일사천리라고 할수있죠.
물론 전기전공자 분들은 다소 쉽게
진행할수있는 분들도 많기는 하지만
이 또한 전부 그렇지는 않은듯 하고
비전공자분들의 경우는
아무래도 기본부터 닦아나가야하는 분들이
대부분이다보니 기본서와 강의로
완전히 처음부터 시작하시는 분들이
대다수인듯 한데요.
전공자든 비전공자든 모두에게
공부를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건
바로 전기기사 기출문제가 아닐까 싶어요.
물론 다른 시험들과는 약간 차이가 있는게
단순히 암기하는 방식으로
전기기사 기출문제를 외우는 식으로
공부할경우에 제대로 점수가 나오지
않을수밖에 없어요.
시험의 특성상 같은 문제더라도
다른 조건들이 나오게 되고
그렇게 되면 완전히 다른 문제가
되어버리기 때문인데요.
그래도 전기기사 기출문제가 중요한게
여전히 어느정도 한도내에서는
유사문제가 출제가 되고도 있고,
여러 조건들은 바뀌어서 출제될 지언정
대부분 유형이나 주로 출제되는
내용자체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인데요.
기출을 통해서 주로 나오는 파트와
유형에 대한 적응만 된다고 한다면
높은 점수는 아니지만
어쨌든 합격점수인 60점까지
만드는것은 충분합니다.
다만 전자기학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경우는
전공자라하더라도 기존 전기기사 기출문제만을 갖고
준비했을때 과락이 나올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과목인 만큼
다른 과목들보다 좀더 세심하게 볼필요가
있을것 같네요.
가장 이상적인건 역시 확실하게
기초이론부터 한번 싹 흝어보시고
탄탄한 바탕을 갖고
전기기사 기출문제를 곁들여서 함께
공부해나가는 거겠지만 말이죠.
전기기사 기출문제 받고 유형정리 확실하게 해보자(클릭)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