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분야 기사 자격증의 양대 큰 기둥이라고 하면

바로 전기기사와 전기공사기사 자격증을

얘기할수가 있을것 같은데요.

대체로 전기공학 전공을 하셨다고 하면

이 두 자격증을 연이어서 취득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듯 해요.


어느쪽이 되었건 먼저 취득할 경우에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전력공학,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전기기기를 

면제받을수가 있어서 2년안에만 

한과목을 준비해 합격하게 되면

추가로 기사 자격증을 더 딸수있기 때문이죠.

예를들어 전기공사기사 자격증 취득시에는

전기기사 시험에서 전자기학 한과목만

시험을 보면 되는건데요.






물론 공기업등의 도전할때는

물론 쌍기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한가지만 선택해야할시에는

전기공사기사 필기과목에 

전기기사에는 존재하는 가장 어려운 과목인

전자기학이 없기 때문에

좀더 우선 선호되는 경향도 있는것 같아요.


일단 전기공사기사 필기 과목은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전력공학,

전기기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로

모두 다섯과목이예요.






일단 난이도를 생각했을때는

전기기기가 극강으로 가장 어렵고,

그 다음이 전력공학이 어려워요.

그에 비해서는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이나 

전기설비기준, 전기응용 공사재료는 

상당히 수월한 편이죠.


다만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과

응용 공사재료, 전력공학등은

실기시험과 다이렉트로 직결되는

과목이기 때문데 장기적으로 봤을때

더욱 심혈을 기울여야할 과목이기도 해요.





일단 전기공사기사 필기 합격기준은

전체 100문제중에 60개이상을

맞추게되어 평균 60점이상이 되고

각 과목당 20문제중에 8개이상 맞출경우(40점)

합격이되는 방식인데요.


한과목이라도 8개이하로 맞출경우는

아무리 나머지를 잘봐도 과락으로 인한

불합격이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해요.

반면 전과목 모두 8개이상 일단 맞출수 있는

최소한의 실력을 갖추게 된다면

스스로 정말 자신있게 할수있는과목에

집중적으로 시간을 투자해서

60문제를 맞추는것도 많은 분들이

진행하시는 방식이예요.





일단 처음 전기공사기사 과목 공부를

시작하게 된다면

오프가 되었건 온라인 강의가 되었건

기초부터 닦는것부터 시작하시는게 좋아요.


직접적인 전기전공이 아닌 분들은

거의 필수라고 생각하구요.

전공자 분들도 어차피 전기밥(?)을 계속해서

드실생각이라고 한다면

확실하게 이론 정립이 필요하니까요.

특히 실기와 연계되는 과목들은

더욱 심화학습할 필요가 있구요.





그리고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도

풀어보셔야 하는데 이해도 이해지만

통으로 암기할 각오로 

완벽하게 해주셔야 해요.

실제 시험을 맞딱뜨려보면 아시겠지만

절반가량은 기출에 기반한 문제가 

출제가 되고 있거든요.


물론 단숨히 외운다고 해서 

다 풀수있는건 아니지만

어느정도 기본적인 이론정리가 되어있고

기출암기가 될시에는

대부분 문제가 해결이 되실수가 있으실거예요.

심지어 계산문제들도 말이죠.

특히 모든시험이 그렇지만 틀린문제는

따로 정리하면서 준비하셔야 해요.




전기공사기사 필기 과년도 기출문제 바로 풀어보세요(클릭)





WRITTEN BY
미디어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