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시험에 대한 많은 제약들이
이전에 비하면 많이 사라진게 사실이예요.
특히 공무원 나이제한 부분이 그런데
대부분 폐지가 되었다는 얘기들을
많이 들으셨을거예요.
하지만 이 공무원 나이제한 폐지는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리는 내용이예요.
실제로 완전한 폐지는 아니고
정확히 얘기하면 상한나이가 폐지인데
그마저도 직렬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거든요.
하한나이제한에도 차이가 일부있어요.
일단 2018년 공무원 시험이
거의 끝이나가고 있는 상황이기에
2019년 시험을 기준으로
얘기해보도록 할텐데요.
7급과 9급공무원 간에도 구분이 됩니다.
일단 대부분의 9급공무원 공채의 경우는
18세이상이면되는데
2019년 기준으로는 2001년 12월 31일 이전에
출생했다면 해당이 되요.
다만 예외가 있는데
바로 교정직과 보호직이예요.
직렬특성상 2살많은 20세이상이여야해요.
7급의 경우는 기본 하한연령이 좀더 높은데요.
20세이상부터 응시가 가능해요.
출생년도로 보면
1999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죠.
기본 국가직 지방직 공채의 경우는
모두 이렇게 공무원 나이제한이
하한은 18~20세고 상한은 제한이없어서
최근에는 40~50대 합격자들도
나오고 있기도 해요.
다만 같은 9급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상한제한이 있는 직렬들이 있는데
바로 소방직과 경찰공무원 이예요.
둘다 모두 18세이상 40세이하까지만
응시가 가능하게 되어있는데요.
출생년도로 보면
1978년 1월 1일생 부터
2001년 12월 31일생까지만 응시가 가능해요.
아무래도 이 두직렬은 체력이
중요시되는 직렬이다보니 어쩔수가
없다는 생각이 되고 납득이 되기도 해요.
물론 40세도 그나마 좀더 늘어난거긴 하지만
특수성으로 인하여실제로
그 나이대 응시자는
거의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이 정도면 아시면 공무원 나이제한은
거의 완벽하게 아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텐데요.
사실 거의 대부분 수험생은 물론
합격자들도 20~30대에 몰려있긴하지만
그래도 남들보다 좀더 빠르게
혹은 뒤늦게 새로운 도전을 하는 분들도
있기 때문에 참고하시라는 차원에 올려봅니다.
이제 본격적인 2019년 시험을 향한
레이스가 시작이 되죠.
일단 올해에 이어서 2019년도
대규모 채용에 대한 소식이 전해들려오는 만큼
꼭 준비시작하셔서 좋은 기회가 왔을때
그 기회를 내것으로 만드셨으면 합니다.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