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기사 시험이 있지만 잘 확인하지 않으면
대부분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보면
끝이기는 하지만 산림기사 시험은
잘 미리 확인하지 않으면 낭패를 보기
쉽상이겠더라구요.
일단 산림기사 실기는 필답형과 작업형
두가지시험을 봐야하는데
두 시험은 날짜도 각각 다른 날짜에
잡혀서 시험을 보게 되는데요.
특히 실기 원서접수는 서둘러야 하더라구요.
이게 작업형은 시험장이 전국에
몇군데가 되지를 않아요.
더구나 시험타임에 시험을 볼수있는
인원수가 정해져있어서
접수가 늦으면 마감이 되어서
예상치 못한 먼곳에 가서 시험을
보셔야 할수도 있거든요.
가능한 마치 수강신청하듯 접수시간이
시작이되면 기다렸다가
바로 접수를 하시는게 좋을듯해요.
일단 산림기사 실기 필답형은
모든 문제가 서술 주관식인 필기시험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생각보다 기출에서
많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기출만 판다고해서 합격할수는 없구요.
다만 공부해야하는 시험범위는
생각보다 많지는 않은편이다보니
꼭 기출위주로 접근할 필요는 없을듯해요.
또 너무 깊은 내용이 아닌
가장 중요한 기본들에 대한 내용들
특히 주요 개념들에 대한것을
직접적으로 묻는 문제들이 많기에
핵심개념에 대한 정의도 명확히
하셔야 할 필요가 있어요.
그리고 계산문제도 꽤 많이
출제가 되고 있는 편인데
소수점 자릿수를 꼭 맞춰서 작성하셔야해요.
두자릿수 까지만 적으셔야하니까요.
산림기사 실기 작업형은
아마도 처음 보시는 분들은
당황의 연속이실수도 있으실거예요.
일단 위에서 말했던 원서접수도 그렇고
일단 표준지로 가기위해선
산에 올라가야 해요,
표준지가 경사도 상당한곳도 많은편이구요.
심지어 비가와도 그대로
진행을 그대로 하게 됩니다 비가오던말던..
날씨가 좋기를 기도하는 수밖에..
일단 산림기사 실기 작업형 시험방법
과정은 다음과 같아요.
정해진 표준지에서 수고, 직경, 제거목선정등의
조사를 하게 되고,
일단 용지에 정리하게 되는데
그 중간에 면접 느낌처럼
질문을 몇가지 하게 되고 그에 대한 답변을 통해서
채점이 되게 되요.
그리고 산림계획서와 경영계획도를
감독관이 나눠준 용지에 작성해서
제출하게 됩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요.
1, 표준지 공지
2, 표준지 이동후 방위계, 경사계 줄자,송곳,
야장판,a4용지등 배부
3.매목조사
4.하층식생류 식별후 답안지 제출
5.경영계획서,직경수고, 경영계획도 작성
미래목선정 및 산출후 답안제출.
거진 3시간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참고로 복장은 긴팔 등산복으로
갖추는게 좋겠더라구요.
되도록 주머니가 갖춰진 조끼가 좋구요.
사실 산림기사 실기 작업형의 경우
단순히 이론만으로는
실제 시험에 임할수가 없는데요.
최근에는 산림기사 실기 강의 자체도
일단은 이론으로 확실하게
기본을 잡아주고
현장에서 어떤식으로 표준지에서
측정을 해야하고 주의사항은 어떻게 되는지
촬영되어 상세하게 안내되고 있기 때문에
인강으로도 준비하시는 분들이 많으니
한번 정도 참고해보시는것도 좋을듯 싶어요.
산림기사 실기 필답형 & 작업형 인강 자세히 살펴보기(클릭)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