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무원 전자 통신직 유형 정확히 알아보자
군무원에는 정말 다양한 직렬이 존재하죠.
그 중에서 의외로 꾸준히
선발이 이어짐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는 적은 분들만이 도전하는 직렬이
군무원 전자직과 통신직이라고 생각이들어요.
특히나 합격가능성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볼수있는데요.
합격선자체가 낮은편인데다가
간혹 군기관중에서 미달이
발생하는 경우도 간간히 발생하고는 합니다.
그러니 도전생각이 있다면
일단 지원하고 보는게 중요한데요.
지난 2017년만 보더라도
군무원 전자 경쟁률의 경우에
국방부가 8명을 선발하여 19.38대1,
육군이 32명을 선발에 9.2대1,
해군이 5명 선발 19.8대1
공군 9명선발 20.6대1로 무난함을
보여주었습니다.
군무원 통신직 역시
국방부 11명선발에 25.36대1
육군 41명, 10.1대1
해군 15.6대1, 공군 32.3대1이 였구요.
합격선을 보게되더라도
군무원 전자직의 경우
국방부 57점, 육군 43점, 해군 55점,
공군 47점으로 심지어 50점도 되지않는경우가
비일비재한 상황입니다.
그러다보니 통신 전공자 분들이나
관련업종 종사자분들이라면
한번정도는 도전을 생각해볼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할수가 있죠.
다만 아무리 전공과목에 대한
이론에 자신있다고 하더라도
생으로 존재하는 지식자체로는
제대로된 점수를 내기가 어렵습니다.
각 군무원 전자직과 군무원 통신직에 맞는
출제경향이 따로 있고
문제유형이 따로있기 때문입니다.
때로는 출제이슈에 따라서
같은내용들이라도 완전히 다르게
구성이 될수도 있구요.
그렇기에 군무원 전자 통신 응시를
생각하시는 분들이라면
본격적인 공부시작전에 반드시
기본 문제유형적인 부분부터
어떤방법들로 이론들이 문제로
응용되어 출제되고 있는지를
확실하게 검토해보고 시작하셔야 합니다.
현재 전자직렬과 통신직렬의 도전을
앞두고 있는 수험생들을 위해서
위에서 말했던 내용들이 모두 담긴
군무원 전자 통신 특강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는데요.
기존 주요과목들의 출제유형과
기출문제해설까지 모두담고 있으니
꼭 먼저 보시고 난이후에
본격적인 공부 시작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