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기출문제 활용후 합격만들기
조경기능사를 준비하는 분들의 종류를
굳이 나누자면 크게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나눌수가 있을거예요.
하지만 비율로 따지자면 아무래도
비전공자의 비율이 훨씬 높은 편이죠.
물론 전공자에게 조경기능사 시험은
그리 어려운시험은 되지 못합니다.
산업기사나 기사정도면 모르겠지만
그동안 공부해온 내용을 바탕으로
어느정도 문제에 대한 적응력만 기른다면
문제없이 합격할수 있을 정도이긴 하죠.
하지만 문제는 비전공자 분들인데요.
조경기능사 시험과목에서 드러나듯
각종 조경에 사용되는 식물들의 종류와 특성이외에
각종 재료들의 종류까지도
세세하게 이해하고 암기하셔야 하고
실제 시공과 공사의 방식,
그리고 완료된 조경시설들의 관리까지도
살펴보셔야 합니다.
아무래도 처음 이런 분야를
접하시는 분들은 너무나 생소하고
용어들도 이해하기가 힘든경우가 많죠.
일단 그래서 처음 공부를 시작할때
조경기능사 기출문제를 통한 출제포인트
잡기부터 시작하는게 보통입니다.
아시겠지만 기능사시험은 기출에서
많은 출제가 되고 있는게 사실인데요.
그러다보니 조경기능사 기출문제 분석없이는
사실상 단시간에 합격을
만들어가기가 어렵습니다.
어느정도 주 출제내용과 출제빈도를
찾는데 확실한 도움이 되기 때문이죠.
다만 예전과는 달리 단순이 기출만
줄줄줄 풀이한다고해서 합격을
만들기는 어렵습니다.
일단 기출을 베이스로 하는 문제가
백퍼센트는 아닌데다가
일단 조경이라는 분야가 생소하고
암기해야할 부분도 많을 뿐아니라
CBT방식으로 시험방식이 바뀌면서
다소 지엽적이거나 난이도 높은 문제를
풀이하게 될수도 있기 때문이예요.
그렇기 때문에 확실하게
조경기능사 기출문제를 활용하여
이전 빈도 높은 문제들은 확실하게 잡고
이론에 대한 자신감이 조금 떨어지시는 분들은
강의도 등록하셔서 함께
기본기를 단단히 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사실 조경기능사의 경우 강의비용이
크게 부담되는 선도 아닌데다가
강의도 핵심만 주로 압축해서 진행되다보니
짧게 단기간에 학습이 해서
시간이 부족한 분들에게 더 잘맞는다고 보구요.
일단 조경기능사 시험일정 자체가
연 4회씩이나 있다보니
준비하시는 수험생들도 다소 늘어지는
경향이 있기는 한데요.
그러다보면 계속 늦어질수밖에 없더라구요.
일단 서둘러서 지난 조경기능사 기출문제부터
풀어보시고 난후
지금상황에서의 내실력과
그에 따른 학습방향을 하나씩
잡아나가보시기 바랍니다.
일단 한발을 내딪으셔야만 비로서
공부는 시작되는거니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