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가산점 자격증 반드시 필요한걸까
공무원 시험에서 가산점은
시험이 아닌 부가적인 부분이기에
꼭 필요할까 하는 생각도 들기도 하죠.
특히 이미 갖고있는 자격증이 있다면
더할나위없이 좋긴하지만
추가적으로 취득해야하는 상황이라면
고민이 될수밖에 없어요.
특히 경찰가산점 자격증의 경우는
필기시험에 체력시험준비까지
해야하는 상황에서 생각에 따라
취득이 부담이 될수밖에 없기 때문이예요.
그럼 합격을 위해서 경찰가산점 자격증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수있을까요?
답은 '필요하다' 입니다.
다른 보통 행정공무원들처럼
0.5에서 1%의 가산점 자격증은
물론 워낙 비중이 적기 때문에
고민이 될수도 있다고 보여지지만,
단 1점도 아쉬운 상황에서
최대 5점까지 차이가 나는
경찰공무원 가산점의 경우
실제 합격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예요.
경찰가산점은 다른 공무원들과
점수나 인정되는 자격증들도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요.
그 종류도 많고 배점도 차이가 큽니다.
일단 아래표를 보시기 바랍니다.
각 분야가 나눠줘있고
2점부터 4점, 5점 짜리로 나뉘어져있는데요.
총 맥시멈 가산점수가 5점이기에
5점짜리 하나가 있으면
더할나위없이 좋기는 하겠지만
보통 그런경우 보다는
2점짜리와 4점짜리를 조합해서
5점을 만드는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2점짜리 세개나
4점짜리1개, 2점짜리1개
이런식으로 말이죠.
이때 경찰가산점 산정에 주의하셔야할
부분이 있는데요,
각 분야가 나뉘어져있는데
분야별로는 자격증 인정이 1개밖에
되지를 않습니다.
예를들어보면
워드프로세서1급과 컴퓨터활용능력2급
자격증이 두개가 있다고 해도
이는 같은 정보처리 분야이기에
하나만 적용이되어 2점밖에 점수가
인정되지 않는것이죠.
하지만 분야가 다른
정보처리산업기사(2점)와
한국국어능력시험 670점이상(4점)이라면
총 6점으로 최대 5점까지
인정이되어 맥시멈 가산점인
5점을 받을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팁을 드리면
아직 어떠한 자격증도 준비가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일단 대형운전면허를 먼저 따시고
다른 자격증도 준비하시는것을
추천드리고 싶어요.
왜냐하면 현재 자동차면허가 없으시다면
어차피 1종이상 따셔야 하기에
애초에 대형면허를 준비하는게 효율적이고,
이미 면허있으신 분들은
취득이 용이하기 때문이죠.
대형면허 2점 + 컴퓨터활용능력2급(워드1급) 2점
한국어실용(한국어능력)2점
이런식으로 보통 준비하시면
가장 일반적인 조합이라고 생각되네요.
이 정도면 대략 정리는 되셨을듯 한데요.
이 경찰가산점은 간혹 필기합격후
준비하겠다는 분들도 계시는데
사실 면접에 체력시험 준비만도
벅차기 때문에 쉽지않답니다.
반드시 필기시험을 준비하면서
미리 함께 준비하셔야만 됩니다.
물론 너무 시간이 촉박하다면
다시 생각해봐야 하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꼭 여유를 두고
꼭 갖춰두셨으면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