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국가고시 합격기준 과락 구분하기
일생일대의 가장 중요한 시험인
간호사국가고시가 약 50여일을 앞두고 있는데요.
사실 시험을 준비중인 수험생들 누구나
합격률이 높다는 것도 알고있고,
지금까지 준비해온 결과라면
꼭 해낼수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불합격하는 분들은 꼭 나온다는게
약간의 불안함을 갖게 하기도 하죠.
실제 불합격자는 매년 몇퍼센트에
불과하긴 하지만 대부분 불합격 면면을 보면
전체평균과락인 평락보다는
과목과락이 더 많은 편이예요.
어느정도 전체적인 실력이 부족하다기보단
특정 간호사국가고시 과목에서
점수가 부족해서 탈락의 쓴잔을
마시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건데요.
물론 전체 평균 점수 60점에
과목마다 40점이상의 되어야만
합격이 가능하다는
간호사국가고시 합격기준은 정해져있지만
과목마다 문제수도 다르고
그나마도 최근에 이전과는 다르게 바뀌면서
셈법이 복잡해지게 되었어요.
그렇기때문에 정확하게 간호사국가고시 합격기준과
과락은 어떻게 되는건지
명확하게 알아보고 준비하셔야 하는데요.
총점수는 295점으로
각각 과목별 문제수는
성인간호학 70문제, 모성간호학 35문제
아동간호학 35문제, 지역사회간호학 35문제
정신간호학 35문제, 간호관리학 35문제
기본간호학 30문제, 보건의약관계법규 20문제로
각 과목별로 문제수가 다른데요.
이중 과목별로는
전체 문제중 40%이상을 맞춰야만
최소 합격기준이 됩니다.
과목별로 다시 살펴보면
성인간호학은 28문제,
모성간호학, 정신간호학, 간호관리학
아동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각 14문제
기본간호학 12문제, 보건의약관계법규 8문제
이상을 맞추셔야만 과목별 과락을
면하실수가 있답니다.
물론 저 점수대로만 될경우에는
과목과락은 문제가 없더라도
전체 평균과락에서는 불합격인데요.
다해봐야 118점밖에는 되지 않기 때문이예요.
전체 점수는 전체 295점만점에
177점이상이 되어야만 합니다.
고로 177문제 이상을 맞춰야 하는것이죠.
어느정도 간호사국가고시 합격기준과
과락점수에 대한 이해가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그렇기 때문에 자신있는 과목들도있고
되도록 피하고 싶은 과목도 있겠지만
어느정도 균형을 맞춰서
준비하셔야 할듯 해요.
물론 생각하기에 따라서
'과목별로 40%이상 못맞추겠어?'
라고 하실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애매하고 불안한 과목이 있으시다면
조금더 많은 시간투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일단 이런 세세한 간호사국가고시에 대해서
확실하게 알아야할 부분이나 준비사항들은
간호사 국가고시 합격전략서에
상세하게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셔서 만반의 준비 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