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만나이계산법 좀더 쉽게 이해하자
미디어록
2017. 6. 29. 11:00
가끔 보면 왜 나이가 표준나이와
만나이로 구분되고 있는지
의아할때가 많다.
사실 일상적으로는 일명
한국식나이를 쓰기 때문에
오히려 만나이가 더 이상하게
느껴질때가 많은데
실제로 국제적표준은 만나이를 사용한다.
그러다 보니 이 한국식 나이를
의아해하는 외국인들도 많다.
실제로 현재는 우리나라만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한국식 나이와 만나이의
가장큰 차이는
태어났을때 1살이 되느냐
안되느냐의 차이다.
한국나이는 일단 태어나자마자
1살을 일단 갖고 태어난다.
하지만 만나이는 만이라는
뜻처럼 채워져야 1살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 생일이 지나서야
1살이 되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한국식 나이는
12월 생일경우 바로 한달만 지나도
2살이 되어버린다.
생후 2개월여에 2살이 되어버리는건데
이게 참 이상한 부분이긴 하다.
결국 년도 기준으로 나이를 따질것이냐
아니면 생일기준으로 따질것이냐도
차이점이라고 할수있을것이다.
간혹 이 만나이계산법에 대해서
헷갈리시는 분들이 있다.
나이 셈법은 무척 간단하다.
예를들어서 지금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빼고
생일이 지났으면 그대로,
생일이 지났지않았으면 1을 빼면
만나이가 되는것이다.
예를들어서 내가
1982년 9월 29일 생일이라고 치자.
그런데 오늘날짜는
2017년 6월 28일이기 때문에
아직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
그렇다면
2017-1982-1 = 34
만 34살이 되는것이다.
만나이계산기까지 찾는 분도 있는데
그럴 필요도 없다.
생일지났으면 생년에서 올해 날짜 빼기
안지났으면 거기에 -1만 해주면
되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