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유기농업기능사 학습 TIP 따져보자

미디어록 2019. 8. 4. 21:55



요즘 이웃나라 잘못만난 죄로 인해

먹을거리에 대한 걱정이 점점더 

심해지고 있는데요.

그러다보니 역시 믿을만한건 유기농작물이나

식품밖에 없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요.


내가 혹은 우리가족이 먹을건데

아무거나 대충 먹을수는 없는 노릇이니 말이죠.

기본적으로 농업과 관련된 자격증은

여러개가 있기는 한데

이런 구체적인 유기농업에 대한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사 자격증은

유기농업기능사 자격증이

유일하다고 할수가 있어요.




이 유기농업기능사 시험은 다른 자격증

시험과 동일하게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구분할수 있는데

필기시험의 모두 세과목으로

작물재배, 토양관리, 유기농업일반

객관식 4지택일형 시험을 보게 되어있고

문제는 한과목에 20문제씩이기에

60문제를 풀게 되어있어요.


풀이시간이 60분이기 때문에

1분당 1문제 꼴이긴 한데

실제로 시험에 임하시게 되면

실제 시험시간은 남는편이기에

시간부족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답니다.




반면 실기시험은 필답형 + 실제 작업형이

결합된 형태인데

20분동안 필답형 시험을 치르는데

주로 병에 담아둔 시료의 이름을

적어내는등의 간단한 시험입니다.


이후 40분정도 작업형 시험이 시작되는데

주로 PH측정과 산도가 높은 순서를 적는 문제,

자재 분류와 같은 부분들을

하게 된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필기에 비해서는 실기는 상당히 

간단한 수준이라 합격률이

거의 80~90% 달하니 큰 어려움은 없으리라

생각이 드네요.




다만 유기농업기능사 필기의 경우는

최근에는 상당히 합격률이 높아져

50%정도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는데요.


다만 15년~16년만 하더라도

각 32%, 23%에 이를 정도로 낮은 합격률을

보인적도 있기 때문에 

항상 만일의 상태에 대비한

충분한 준비가 되어있어야만 합니다.




유기농업기능사 시험과목별 주요

출제사항들을 살펴보게 되면

작물재배는 농업이란 무엇인지,

여러 작물들의 주요 생산지가 어떻게 되는지,

농업방식과 환경등에 대한 부분이

주로 나오고 있구요.


토양관리는 토양생성원리와 특징

유기농에 사용되는 토양에 대한

관리적 부분들이 출제가 되고 있어요.

그리고 마지막 유기농업기능사 필기과목인

유기농업일반의 경우는

유기농업의 정의와 유기농원예와 유기축산

품종에 관한 부분들이 

출제가 되고 있어요.





특히 초반에 진도를 나가면서

이론을 다져나가셔야 하지만

중요한게 바로 기존 출제문제들을

함께 풀어보면서 진행하는건데요.

기능사 시험이 대부분 그렇지만

기출활용 출제문제가 상당히 많기 때문이예요.


그렇기에 공부해나가시면서

문제를 풀이하고 출제되었던 내용들은

좀더 꼼꼼하게 보시면서 정리하시고

정말 외울정도로 반복해서 풀어보시면

크게 높아진 난이도로 출제되지 않는한은

합격에 큰 어려움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유기농업기능사 출제시험지 받고 학습방법 터득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