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필기 비전공자 전략적 학습방향 잡기
산림기사 응시자격을 보게 되면
완전한 산림관련 전공자들도 계시지만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대체로 관련있는
전공들 예를들어 환경전공이나,
원예, 토목, 농화학전공자 분들의 경우도
자격이 되다보니 실제로도
이런 분들의 응시비율이 전체 응시자중에
상당수를 이룰 정도랍니다.
하지만 응시자격이 주어지기는 했지만
산업기사 필기 시험과목들의
면면을 보게되면 아무래도 이전에
제대로 공부해본적이 없다보니
상당히 막연함에 직면하게 되는게 현실이죠.
시험으로 만나게 되는 산림기사 필기 시험과목은
조림학, 산림보호학, 임업경영학,
임도공학, 사방공학 모두 다섯과목인데
기본적인 산림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경영학과 공학적인 부분까지
파악해야하다보니
비전공자분들은 시작부터 막히게 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것을 보게 되는데요.
일단 그런경우에는 곧바로 기본서를
파고들거나 강의를 봐도
약간 어려울수밖에는 없어요.
그렇기에 제일먼저 해야할일은
기본적인 산림관련해서 사용되는
용어를 익혀나가시는게 좋아요.
아무래도 전공자분들이야
기본적인 산림용어에 이질감은 없으시겠지만
비전공자분들은 필연적으로
기본 용어부터 익숙하지 않을시
학습이 더딜수밖에 없고
같은 내용을 공부해도 학습효율이 떨어져서
학습속도도 떨어질수밖에 없어요.
이게 반복되다보면
의욕까지 사라지기 때문에
상당히 힘겹게 학습을 진행하시거나
심지어 중도 포기하는 상황에 까지
이를 수가 있는데요.
하지만 일단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어부터 정리하신다음에
기존 기출문제를 살펴보시고 주로
자주 나오는 용어들 중심으로 먼저
해결해나가신다면
이후 본격적인 이론학습에
큰 탄력을 받으실수 있으실거예요.
그리고 본격적인 산림기사 필기 학습을
과목별로 대략 살펴보고되면
먼저 조림학은 일단 암기가
학습의 최우선이 되어야 하는데요.
너무 모든내용을 다 이해하려고 하면
오히려 헷갈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예요.
일단 암기할것을 확실하게 하고나서
내용을 살펴보면 오히려
쉽게 내용이 파악되는 경우가
많은 과목이기 때문에 시작은 암기위주로 하고,
초반 너무 문제풀이에 치중하기보단
암기후 이론에 대한 어느정도
자신감이 쌓였을때 문제풀이를 시작하시면
좀더 학습능률을 올리실수 있으실거예요.
산림보호학의 경우는
다른 부분은 몰라도 병해충관련 부분만큼은
꼭 확실하게 공부해두셔야해요,
이 부분의 산림보호학의 절반이상이라고
봐도 무방하거든요.
그 외에는 거의 기존 출제문제에서
반복되는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기출문제 풀이도 소홀하셔서는 안됩니다.
산림경영학은 이름에서 알수있듯
경영학과 연관된 부분이고
고로 계산문제가 출제된다고 보시면되는데요.
수익이나 손익등과 관련된
문제가 나오고 있어요.
아마도 평소 경영학과 담쌓고 계시는
분들이 그냥 맞딱뜨리게 되면
어려울수밖에 없지만
정작 출제되는 계산문제는
기존에 출제되었던
산림기사 필기 문제들의 영역 밖에서
출제되지 않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기출계산문제들을
꼼꼼히 살펴보시면 성과가 있으실거예요.
다만 문제와 답만 보셔서는 안되고
최소한 문제에 사용되는
계산식정도까지만 확실하게 아신다면
변형되는 문제에 대한 대비도
크게 어렵지 않으실겁니다.
산림기사 필기 사방공학 & 임도공학은
기존 출제문제들에 대한 분석과
이해만으로는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을정도로 까다로운 과목들이예요.
그렇기에 좀더 이론적으로
접근하실 필요가 있고
가장 기본적인 학습방법인
교재와 강의를 3회이상 연속해서
보시면서 공부하시는게 가장 잘먹힙니다.
그렇기에 시간도 많이 투자하셔야 하죠.
그런다음 역시나 마무리는
기출문제 풀이로 문제유형에 대한
적응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해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