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유형 한번 보세요

미디어록 2019. 2. 22. 17:09




2005년 처음 신설때만해도 지금처럼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이 깊지는 않았던듯 한데요.

지금은 전보다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지대해지다보니 

덩달아 관련 수익도 늘어날수밖에 없고

유기농업에 대한 전문인증자격증인

유기농업기능사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도

정말 크게 늘어난듯 해요.


최근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응시인원

증가만하더라도

2011년까지는 1천명대밖에 되지 않았지만

2012년이후 2천명대에서

꾸준하게 응시자가 늘어가

지난 2018년에는 무려 4천명대까지

증가하기도 했답니다.






물론 단순히 유기농업기능사 응시자만

늘어난것이 아니라 

합격률도 훨씬 높아진 상황인데요.

20~30%대 높아야 40%대 초반정도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었던것이

최근 2017년엔 62%, 2018년엔 58.8%의

높은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합격률을 

보여주고 있어요.

최근에 이렇게 합격률이 상승된 이유는

인강중심의 학습으로


실기의 경우에는 매년 90%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왠만하면 필기만 넘어서면

실기 합격은 문제없다고 보실정도기 때문에

크게 염두해둘 부분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유형은 기본 4지선택형

시험으로 진행되고 있는데요.

시험과목이 작물재배, 토양관리.

유기농업일반 세과목으로 지정되어있으니

출제자체는 따로 과목구분없이 혼합방식으로

총 60문제가 출제가 됩니다.


전체 출제는 작물재배에서는

재배의 기원과 현황부터

재배 환경부분, 유기재배기술,

여러 재배발생에 대한 부분,

그리고 토양의 발달과 성질,






토양관리에서는 

토양에서 활동하는 생물과 미생물들

그리고 최근 문제가되는 

토양오염 그리고 관리적 부분이

출제가 되고 있구요.


유기농업일반에서는 

본격적인 유기농업의 정의와

품종육종에 대한 부분 

유기농 원예, 식량작물에 대한 부분 뿐아니라

유기농 축산 분야에 이르기까지

바탕을 이루는 부분 부터 실제 유기농 실무에

대한 부분까지의 출제가 되고 있어요.






그러다보니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시험 유형을

살펴보더라도 재배에 대한 체계와

토양의 특징, 그리고 병해충관리, 

유기농식품과 자제등에 대한 제조와 인증에

대한 부분들이 주를 이루고 있죠.


사실 공부해보시면 아시겠지만 

공부하실때는 너무 한번에 집중해서

깊이있게 공부하시는 것보다는

빠르게 여러번 반복해서 보시는게

더 능률적으로 좋더라구요.







일단 용어들과 친해져야하는데

깊게 파고드는것보다는 

오히려 여러번 반복해서 보면서 용어들에

자주 노출되는것이 더 큰 도움이 되더라구요.


그리고 이 방법이 아는것은 불필요하게

시간낭비하지 않게 하고

모르는부분은 빠르게 잡아내서 

더 집중할수있게 하는것에도 더 도움이 되구요.







특히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유형을 제대로

확인할수가 있는것은 

기존 출제문제들을 풀이해보는건데요.

직접 시험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상당히 비슷한 문제들이 출제가 되기 때문이예요.


정말 기존 기출은 완전히 다 외울정도로

내용을 익히셔야만

합격의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답니다.

벌써 2019 유기농업기능사 시험일정이

시작이 되고 있는만큼 

이런 부분들 고민해보셔서 

확실한 준비 해나가셨으면 합니다.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출제문제지 받고 유형살피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