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기사 필기 특징 알아두면 백전백승 가능하다
직접적인 전공은 아니더라도
여러가지 측량과 관련된 분야에
종사하시거나 관심갖고 계신분들,
심지어 지적직공무원이 되시기위해서는
지적기사 자격증 취득이 필수과정처럼
되어있는 상태인데요.
물론 완전한 지적학과 전공자분들도 있긴해서
그 분들에게는 지적기사 필기 시험은
체감되는 난이도가 생각보다 쉬운편이기도 하지만
몇과목 정도 학과목으로
경험하셨을 비전공자 분들에게는
여전히 적응이 쉽지않은 시험임은 분명해요.
먼저 지적기사 필기과목을 보면
1. 지적측량, 2. 응용측량, 3. 토지정보체계론,
4, 지적학, 5, 지적관계법규로
전통적인 기사시험의 5과목 형태 그대로
시험이 진행이되는데요.
물론 그렇기에 과목마다 20문제씩
모두 100문제를 풀이하게 되죠.
어쨌든 평균 60점을 만들면되고
과목마다 7문제이상 틀리지만
않으면 되기 때문에
과목들을 모두 접해보신 전공자들은
필기 공부하실때는 독학으로들
대부분 준비하시는것 같아요.
하지만 다소 학과공부에 소홀하셨거나
비전공인 경우는 일단 용어부터
막히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일단 조금 여유가 있으시다면
이런 경우는 인강정도라도 등록해서 보시면
정말 많은 도움도되고
내용에 대한 익숙함도 커지기 때문에
공부가 수월해지실거예요.
물론 전체 세세한 내용들까지 다 보시기보단
기출위주의 기출특강을 보시면서
가능한 단기로 끝내시는게 가장 효과적이예요.
어쨌든 대부분 분들이 비전공일 하더라도
몇몇과목들은 접해보셨거나
익숙하실테니까요.
먼저 지적기사 필기 지적측량은
각과거리측량과 지적삼각점츨량 관측 및 계산
부분이 주로 매년 출제가 되고 있어요.
특히 교재에 있는 지적측량 기준표를 보시면서
기출에 어떤식으로 내용이 출제되는지
살펴보시는게 좋습니다.
응용측량은 사용되는 공식이 다른과목에 비해서
상당히 많다보니 체감적으로
더 어렵게 느껴지는 과목들이기도 한데요.
하지만 기출과 해설을 연달아서 보시면서
빈출도가 높은 부분만 제대로
외우셔도 어느정도 성과는 만들수 있어요.
주로 직접, 사진, 수치사진측량에 관한 문제가
출제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3번째 지적기사 필기과목인
토지정보체계론은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와 자료처리 운용들에 대한 기초만
갖추셔도 기본점수는 만들수 있는 과목이예요.
일단 다른 과목들에 비해서 범위가 적은편이기에
부담이 적어서 고득점하기 수월하실거예요.
지적학은 지적기사 필기과목중에서도
가장 암기성향이 강한 과목인데요.
지적제도에 대한 역사가 큰 틀을 이루고 있어서
지적에 대한 기본개념과 관련 제도등만
상세하게 외우시면 무난하게
넘기실수 있으실거예요.
마지막 지적기사 필기 과목인
지적관계법규는 지적법, 토지이용에 관한법등
지적학과 마찬가지로 암기할게
많은 과목인데요,
토지조사등록, 지목의 분류, 전산자료 사용,
등록사항을 수정하는것등에 대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공부해주셔야 해요.
대부분 지적기사 과목들은
어찌되었던 기출위주로 공부해주셔야 하는데요.
처음에는 문제를 풀이한다는것이
의미를 두시기 보다는
문제가 어떤게 출제가 되었는지 보시는게 중요해요.
일단 풀이하시면서 이해가 잘 되지않을경우
1번은 어떤 이론에서 출제되었는지
2번은 어떤 이론에서 출제됐는지
한문제씩 출제된 관련이론이 어떻게 되는지를
적으시면서 쭉 정리하고
내용위주로 학습하시는게 좋답니다.
물론 시간은 많이 걸리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중 하나거든요.
가장 중요한 기출이지만 그대로 문제와 답이
나오는게 아니다보니
어디까지나 출제 내용 중심의 학습이
되어야함을 꼭 기억하시면서
기출풀이 해나가셨으면 합니다.
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 받아보고 이론 정리해보기(클릭)